728x90
DAO
- DAO(Data Access Object) 는 데이터베이스의 data에 접근하기 위한 객체이다. DataBase에 접근 하기 위한 로직 & 비지니스 로직을 분리하기 위해 사용한다.
DTO

- DTO(Data Transfer Object) 는 계층 간 데이터 교환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객체로, DTO는 로직을 가지지 않는 순수한 데이터 객체(getter & setter 만 가진 클래스)이다.
- 데이터 전송 객체
-
즉, DTO는 기능은 없고 데이터를 전달만 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객체를 뜻한다.
참고로 DTO에 기능이 있으면 안되는가? 그것은 아니다. 객체의 주 목적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라면 DTO라 할 수 있다.
객체 이름에 DTO를 꼭 붙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대신 붙여두면 용도를 알 수 있다는 장점은 있다. - 유저가 입력한 데이터를 DB에 넣는 과정.
- 유저가 자신의 브라우저에서 데이터를 입력하여 form에 있는 데이터를 DTO에 넣어서 전송합니다.
- 해당 DTO를 받은 서버가 DAO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로 데이터를 집어넣습니다.
VO
- VO(Value Object) 값 오브젝트로써 값을 위해 쓰인다. read-Only 특징(사용하는 도중에 변경 불가능하며 오직 읽기만 가능)을 가진다.
- DTO와 유사하지만 DTO는 setter를 가지고 있어 값이 변할 수 있다.
728x90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JUnit5] 기본 Annotation (0) | 2023.07.11 |
---|---|
JDBC & JPA (0) | 2023.07.10 |
트랜잭션 문제점 (0) | 2023.07.01 |
트랜잭션 (0) | 2023.06.29 |
커넥션 풀 (0) | 2023.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