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thumbnai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dUEoWr%2Fbtr8i0SddxU%2FptHNXukaBcv0nMQvHnga10%2Fimg.png)
• 절차적 패러다임 – 소프트웨어가 프로시저 단위로 구성됨 • 명령의 순차적 실행 – 프로시저 추상 • 단순한 데이터에는 적합하나 복잡한 데이터를 가진 응용문제에는 부적합 – 데이터 추상 • 특정한 의미를 이루는 데이터 조각들의 집합 • 시스템의 복잡도를 줄이는데 도움 – 예) 레코드나 구조체 – C, BASIC 01 객체지향 • 객체지향 패러다임 – 프로시저 추상을 데이터 추상 관점으로 구성 – 객체란 상태를 의미하는 기억 장소와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연산의 집합 – 객체는 클래스로 그룹화 – 클래스의 인스턴스 • 선언된 객체의 실제 예 – C++, Java, C# 추상화 (abstraction) 의 개념 – 주어진 작업이나 객체를 속성들의 일부분을 가지고 필요한 만큼 묘사할 수 있는 방법을 지원하는..
Spring 프레임워크는 3가지 핵심 프로그래밍 모델을 지원하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 DI) 입니다. DI 란 무엇인가 DI는 Dependency Injection의 줄임말로, 다양한 우리 말 번역이 있지만, 이 글에서는 의존성 주입이라고 하겠습니다. DI란 외부에서 두 객체 간의 관계를 결정해주는 디자인 패턴으로, 인터페이스를 사이에 둬서 클래스 레벨에서는 의존관계가 고정되지 않도록 하고 런타임 시에 관계를 동적으로 주입하여 유연성을 확보하고 결합도를 낮출 수 있게 해줍니다 Dependency, 의존관계란? “A가 B를 의존한다.”는 표현은 어떤 의미일까요? 추상적인 표현이지만, 토비의 스프링에서는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의존대상..
![article thumbnai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pKv9U%2Fbtr7fmwmbn9%2FRWFkc6opWou5zAvKPP2UE0%2Fimg.png)
정적 컨텐츠 방식을 제외하면, 2가지 방식만 기억하면 됩니다. 이전에 봤던, MVC방식처럼 View를 찾아서 템플릿 엔진을 통해 어떤 화면을 렌더링해서 html을 웹브라우저에 넘겨주는 방법이 있고, 오늘 배울 API 방식이 있습니다. HelloController에 다음 코드를 추가해줍니다. @GetMapping("hello-string") @ResponseBody public String helloString(@RequestParam("name") String name) { return "hello " + name; } @ResponseBody는 body부분에 return된 데이터를 직접 넣어주겠다는 뜻으로 보면 됩니다. 저 코드에서 name에 spring을 넣어주면 "hello spring"이라는 문자..
![article thumbnai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svWTo%2Fbtr7dlKTMJQ%2FpQTQ0YNiutcKXVKEtxhvpk%2Fimg.png)
Controller@Controllerpublic class HelloController { @GetMapping("hello-mvc") public String helloMvc(@RequestParam("name") String name, Model model) { model.addAttribute("name", name); return "hello-template"; }} Viewhello! empty 컨트롤러와 뷰를 나눠서 작업해줘야합니다. HelloController클래스에 package hello.hellospring.controller;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import org.springframework.ui.Model;..
![article thumbnai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dHH09w%2Fbtr6N5Iy1Bu%2F0EYUHRyux3KOUhNWpx3ZHk%2Fimg.png)
Welcome Page 만들기 src -> main -> resources -> templates 에서 hello.html 파일을 만듭니다. Hello hello 위 코드를 넣은 뒤 저장하고 실행시켜준 뒤 localhost:8080에 접속하면 다음과 같이 잘 실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Welcome 페이지 예제(2) 다음과 같이 controller패키지에 HelloController 클래스를 만들어 준 뒤, package exercise.ms.controller;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import org.springframework.ui.Model;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