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시간엔 스프링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https://www.h2database.com/html/download-archive.html
Archive Downloads
www.h2database.com
우선 다음 링크로 들어가서 1.4.200 버전을 설치해줍니다.

Windows Installer를 이용해도 되지만 저희는 Zip을 다운받아주겠습니다.
h2파일의 bin파일로 들어가서
<java />
chmod 755 h2.sh
.
<java />./h2.sh
터미널에 다음 두개의 명령어를 입력해줍니다.

그럼 다음과 같은 콘솔이 실행됩니다.
1. 테이블 생성하기
<java />
create table member
(
id bigint generated by default as identity,
name varchar(255),
primary key (id)
);

다음 코드를 실행시켜 MEMBER 테이블을 만들어줍니다.
그리고 다음 select문을 이용해 조회해줍니다.
SELECT * FROM MEMBER
(id bigint generated my default as identity는 id값이 null일때 자동으로 id값을 생성해주기 위한 코드입니다. 그리고 bigint는 자료형 long입니다.)
2. 데이터 넣기
insert into member(name) values('spring') 이라는 insert문으로 데이터를 넣어보겠습니다.

잘 실행됩니다.
이제 db에 있는 값을 불러와야합니다.

개방-폐쇄 원칙(OCP, Open-Closed Principle) 확장에는 열려있고, 수정, 변경에는 닫혀있다.
스프링의 DI (Dependencies Injection)을 사용하면 기존 코드를 전혀 손대지 않고, 설정만으로 구현 클래스를 변경할 수 있다.
회원을 등록하고 DB에 결과가 잘 입력되는지 확인하자.
데이터를 DB에 저장하므로 스프링 서버를 다시 실행해도 데이터가 안전하게 저장된다.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심사의 분리 (0) | 2023.05.09 |
---|---|
SOLID(좋은 객체 지향 설계의 5가지 원칙) (0) | 2023.05.04 |
12. 회원 관리 예제 - 웹 MVC 개발(2. 회원 조회) (0) | 2023.04.11 |
11. 회원 관리 예제 - 웹 MVC 개발(1. 회원 등록) (0) | 2023.04.11 |
10. 자바 코드로 직접 스프링 빈 등록하기 (0) | 2023.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