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Repository
article thumbnail
Published 2023. 10. 6. 17:28
ASPICE 3.1의 CL 자동차
728x90

 

A-SPICE 심사 절차

 

 

Capability Level이 어느 절차에 해당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A-SPICE의 심사 절차에 대해 알아보자

 

 

1. 심사 대상 프로젝트 및 심사 적용 모델의 정의: 여기에서는 심사를 받을 프로젝트의 세부사항과 그에 적합한 심사 모델을 선정한다. 예를 들면, 어떤 프로젝트의 어떤 부분이 A-SPICE의 기준에 부합하는지, 또는 특정 프로젝트의 성격에 맞춰 어떤 심사 모델이 적합한지를 결정하는 단계이다.

 

 

2. 심사 대상 프로세스 범위의 정의: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프로세스 중에서 실제로 평가 받을 프로세스를 선정한다. 모든 프로세스가 평가의 대상이 될 수 있는 것은 아니므로, 중요한 프로세스나 개선이 필요한 프로세스 위주로 범위를 정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3. 목표 수준 및 해당 프로세스 속성의 정의: 프로세스의 현재 상태를 파악한 후, 그 프로세스가 달성해야 할 목표 수준을 설정한다. 이때 해당 프로세스의 주요 속성들도 함께 파악하여, 어떤 속성이 개선의 대상이 되어야 하는지를 확인한다.

 

 

4. 프로세스 속성 평가를 위한 등급 척도의 결정: 여기에서는 프로세스 속성을 평가하기 위한 척도를 설정한다. 이 척도는 프로세스의 성능, 품질, 안정성 등 다양한 측면을 반영하여, 객관적이고 정확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와준다.

 

 

5. 심사 수행 및 프로파일 수집: 정해진 척도에 따라 실제로 프로세스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프로파일로 수집한다. 이 프로파일은 프로세스의 현재 상태와 앞으로의 개선 방향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6. 각 프로세스 별 능력 수준의 결정: 마지막으로, 수집된 프로파일을 바탕으로 각 프로세스의 능력 수준을 최종적으로 결정한다. 이 능력 수준은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품질과 성능을 보장하는 데 기여하게 된다.

 

 

 

 

 

 

A-SPICE의 핵심은 2가지가 있다. 첫번째는 바로 활동에 대한 추적이다.

 

1. 왜 또는 무엇 때문에 이 일을 수행했으며

2. 이 값 또는 내용의 근거 및 출처는 무엇이고,

3. 이 결과에 따라 무엇이 영향을 받는가? 이다.

 

그저 주어진 활동에 반응하듯 단편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위와 같은 일련의 물 흐르는 듯한 과정을 거치며, 일관되고 추적이 가능하게 진행해야 한다.

 

 

 

 

 

 

 

 

두번째는 전략이다. 전략을 수립할 때 꼭 염두해야 하는것은 PDCA사이클이다. Plan, Do, Check, Act의 흐름을 뜻하며, A-SPICE에 포함되는 여러 단위 프로세스들은 기본적으로 이러한 흐름으로 전개가 되어야 한다. PDCA사이클의 핵심 사상은 “100% 정확한 것 같지 않다면, 적당한 전략을 수립하고, 분석하고, 개선하라"이. 이러한 사상은 요즘 국내 자동차 개발 분야에서도 쉽게 볼 수 있는 애자일의 기본 사상과 같은 맥락이라고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OEM에게 요구하는 CL의 레벨은 3단계 까지인데, CL0는 수행결과가 아예 존재하지 않는 상태이다.

 

CL1은 무언가 계획이 세워져 있고, 준비된 상황이 아니라, 발생하는 사건들에 임기응변으로 대응을 해보고, 그 결과에 따라 다시 대응을 하는 상황이다. 비유를 해보자면, 배고픔을 해결하기 위해 자급자족으로 먹을 것을 찾아서 먹기 위해 노력하는 상황이고 굶어 죽지는 않을 정도의 상황이라고 얘기할 수 있다.

A-SPICE 관점에서 설명하자면, 일차적인 목표는 알고 있으며, 이를 위해 어떻게 목표를 달성할 것인지, 체계적인 계획을 수립하지는 못하였지만 눈앞에 놓은 문제를 일단 해결하기위해 무언가 조치를 취해보고, 해결이 안되거나 다음 문제가 식별이 되면 이를 위한 다음 활동을 수행하는 상황이라고 이야기할 수 있다.

 

CL2Managed, 즉 관리됨의 상태이다. 어떠한 상황에서 어떠한 목표를 달성해야 하는지 알고 있으며, 제약 상황에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고 그에 따라 움직이며 반응을 하는 상황이다.

A-SPICE 관점에서 보면, 목표와 제약 상황을 명확히 알고 있고, 제약 사항 하에 어떻게 달성할 것인지 전략을 수립하였으며, 전략에 따라 필요한 준비들을 완료하고 모든 팀원이 같이 움직이며, 계획 대비 차질이 생긴 경우 적절한 조치를 하는 상황이라고 이야기 할 수 있다. 이 상황에서는 적어도 팀 안에서는 계획 및 전략에 따라 일관된 방식으로 일을 하고 있어야 한다.

 

CL3 Established, 즉 구축됨의 상태이다. 예측 가능하며 일정한 수준의 결과물을 만들어 내기 위해 기준을 만들고, 상황에 따라 이를 조정하며 실행하는 상황이다. 식당으로 예를 들면, 하루의 목표 손님 식수를 예상하고, 맛 좋고 건강한 음식을 제공하기 위한 레시피를 만들어서 이에 따라 재료를 준비하고 요리를 해서 음식을 제공하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식수의 변동이 생기거나 재료 수급의 어려움이 생기는 등의 변수가 발생하면 레시피를 조정하며 적절히 대응하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A-SPICE관점에서 설명을 해보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표준의 기준을 정의하고, 기준을 이행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고, 상황을 고려하여 적합하게 조정을 하고 이행을 한 뒤, 이행 결과를 관찰하며 표준 기준을 보완해 나가는 상황이라고 이야기 할 수 있다. 이 상황에서는 팀은 조직 표준에 따라 의사결정을 하고 활동을 수행해야 하며, 팀이 잘 수행할 수 있도록 옆에서 같이 뛰며 도와주는 사람이 존재해야 한다. 그리고 팀이 이행한 결과를 분석하여 표준을 좀 더 유의미하고 가치 있게 바꾸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프로세스의 속성에 대한 평가는 인터뷰와 실제 결과물을 기반으로 4개 등급 중 하나로 결정한다. ISO 330시리즈에 따라 A-SPICE가 개정되면서 총 6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졌지만, 의미적으로 큰 차이는 없기 때문에 빠른 이해를 위해 4개 기준으로 설명해보자, 등급은 N-P-L-F로 나누어지며, 각각 Not achieved, Partially achieved, Largely achieved, Fully achieved 입니다. 이에 대해서는 수학적인 범위로 정의되어 있기는 하나 실질적으로는 상당히 정성적이라고도 생각된다. 4개 중 역량 등급 달성에 의미가 있는 것은 50점을 넘었는가, L인가 F인가이다. 좀 더 쉽게 접근해보도록 하자.

 

 

 

 

 

 

 

 

 

여기에 3층짜리 건물을 짓고 싶어하는 한 사람이 있다. 여기서 1층을 CL1, 2층을 CL2, 3층을 CL3로 보면 된다.

 

 

 

 

 

 

 

1층의 구조물과 내부 벽돌들을 51% 쌓았고, 사람들이 그 안에 들어갈 수 있게 되었다. 1층에 입주를 성공한 것이다. 이제 2층을 쌓으려고 하는데 아직 1층의 구조물이 2층을 쌓기에는 부실하다. 1층이 2층의 무게를 감당할 수 없는 것이다.

 

 

 

 

 

 

 

2층을 올리기 위해 1층의 구조물을 51%에서 86%까지 더 채워 넣었다. 그리고 1층에 있던 사람들을 2층에 입주 시키기 위해 또 다시 2층 구조물을 채우고 내부 벽돌을 51%까지 채워서 최소한의 공간을 확보했다. 이제 마지막층인 3층을 올리려고 했으나 이번에도 3층의 하중을 견디기엔 지금의 1층과 2층의 내구도로는 부족하다.

 

 

 

 

 

3층을 쌓기 위해 1층의 구조물을 조금 더 채우고 2층의 구조물을 51%에서 86%까지 채운다. 그리고 3층의 구조물을 새로 올리고 벽돌을 51%정도 채워 최소한의 공간을 확보한다. 이제 3층에도 사람이 입주할 수 있게 되었다.

정리 하면 다음과 같다.

 

 

 

 

 

 

 

 

 

 

 

 

 

 

 

728x90

'자동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HD MAP & SLAM  (2) 2023.10.18
SAE J3016  (0) 2023.10.18
ASPICE  (8) 2023.09.06
CAN과 CAN FD  (0) 2023.09.04
ASIL  (0) 2023.09.04
profile

StudyRepository

@Minseo26262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