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Repository
728x90
article thumbnail
인터락(Interlock)
자동차 2024. 12. 10. 16:07

정의인터락(interlock) 또는 인터로크는 2개의 매커니즘 또는 기능의 상태가 서로 의존하도록 만들어주는 기능이다. 유한 상태 기계에서 원치 않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으며 어떠한 전기적, 전자적, 기계적 장치나 시스템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환경차(전기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 연료전지 전기차 등)에서는 고전압 계통의 부품이 장착되고, 이를 PE (Power Electric) 부품이라고 한다. 전기 자동차를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부품이 있다.    (1) 고전압 배터리 : 수백 V 급으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역할​(2) 구동 모터 : 환경차를 구동하는 역할​(3) 12V 배터리 : 자동차의 전장에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4) OBC (On Board..

article thumbnail
IGBT
인버터 2024. 11. 14. 12:00

IGBT란?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는 전력 전자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반도체 소자로, 트랜지스터와 MOSFET의 특성을 결합한 장치이다. IGBT는 높은 전압과 전류를 제어하는 데 효과적이며, 스위칭 속도와 전력 효율이 뛰어나 전력 제어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IGBT를 이해하려면 기능 측면에서 서로 다른 트랜지스터를 이해하는 것이 좋다.   트랜지스터는 두 가지 주요 기능을 가진 작은 전자 부품이다.조명 회로를 제어하는 스위치 역할을 하거나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는 다양한 유용성과 특정 적용 가능성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트랜지스터는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

article thumbnail
상전압 선간전압
인버터 2024. 11. 6. 16:53

분전함을 열고 차단기(MCCB) 단자를 전기 테스터기로 측정해 보면 다음과 같이 a, b, c 상과 N 선간에는 220V, 상과 상사이에는 380V의 전압이 나온다. 그런데 220과 380의 관계를 보면 220의 루트 3배가 380이다.   전기 공부를 하다 보면 루트 3이라는 숫자를 굉장히 많이 보게 되는데, 우연찮게도 220에 루트 3을 곱하면 380이 나온다.  220에 루트 3을 곱하면 380이 나오는 이유를 알아보자    상전압과 선간전압 이란?  변압기의 2차 측 Y 결선으로부터 분전함 차단기까지의 대략적인 결선도는 다음과 같다. 중성선 N과 a, b, c 상과의 전압(전위차)을 상전압, a, b, c 상간의 전압(전위차)을 선간전압이라고 한다.            220V의 루트 3배가 38..

article thumbnail
자동차 개발 프로세스
자동차 2024. 10. 28. 11:01

용어 정의      기획 단계​신차의 성패여부는 기획과 시장조사에 달려 있다고 할 만큼 중요하다. 자사와 경쟁사의 동향과 세계적 수준을 냉정하게 평가, 분석하여 중장기 상품기획서를 작성하고 이어 구체적인 개발목표를 설정한 제품개발 계획을 만들어 최고 경영층의 승인을 받는다. 총괄 PM은 다시 각 부문 PM과 아이디어를 모으는 회의를 거듭하면서 제품개념을 개발(Concept Development)하고 개발모델을 확정한다. ​개발하려는 상품의 컨셉이 정해지면 다시 수개월동안 세부검토를 거쳐 구체적인 차량의 개발계획을 정하게 된다. 여기에는 신차의 설계와 생산을 위한 기본제원을 검토하고 실내 스페이스 레이아웃을 설정한다. 동시에 연비와 성능, 내구신뢰성, 차량중량, 엔진방식, 각 기구의 메커니즘 등을 어떻게 ..

article thumbnail
e-LSD
자동차 2024. 10. 25. 15:43

e-LSD란?electronic-Limited Slip Differencial   LSD는 원래 험로 탈출을 위한 장치차의 한쪽 바퀴가 웅덩이 같은 곳에 빠지게 되면 차동장치의 기능으로 바퀴가 헛돌게 되면서 빠져 나오지 못하게 되는 현상을 보완 마치 차동장치 기능을 막아서 좌우륜을 직결시키는 원리아직도 상용차에는 좌우 바퀴의 회전차가 생기면 조절하지 않고 아에 잠궈버리는 LD(lock differential)이라고 불리는 장치가 쓰임아주 다양한 종류가 있고 바퀴가 헛도는 것을 감지해서 스스로 작동하는 방식과 오프로더들처럼 운전자가 스위치로 작동시키는 방식도 있음​이것이 트랙 드라이빙에 도움이 되는 것이 알려지면서 경주차에 장착되기 시작코너링 중에 가속시 내측바퀴의 휠스핀을 막으면 더 많은 추진력을 얻을 ..

article thumbnail
Low Pass Filter(LPF)
인버터 2024. 9. 23. 13:48

LPF란? Low pass filter(저주파 필터,LPF)는 말 그대로 저주파수의 신호는 통과시키고 고주파의 신호는 걸러내는 필터이다.  단어의 의미대로 해석하면 그렇지만 수학적으로 보면 고주파의 신호의 크기를 점차적으로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고 보면 된다. 주로 잡음(noise)가 고주파에 존재하기 때문에 잡음들을 제거할 때 많이 사용된다. 아날로그 LPF의 회로도는 아래와 같다. 아날로그 LPF는 지금처럼 디지털 기술이 발전하기 전, 물리적인 회로를 만들어서 신호의 잡음을 줄이기 위해 사용되었으나 현대처럼 디지털 기술이 발전한 시대에서는 아날로그보다 디지털 LPF를 사용하는 것이 편하다.       위의 LPF의 회로에서 키르히호프 법칙을 이용해 미분방정식을 새우고 라플라스 변환을 사용하여 전달함수를..

article thumbnail
e-Compressor
자동차 2024. 9. 12. 15:33

기존의 Compressor  기존의 컴프레서는 내연기관 엔진의 피스톤 운동, 왕복 운동을 이용해 작동하는 방식이었다.  내연기관 엔진은 연소 과정에서 피스톤을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데, 이 운동을 컴프레서가 사용 가능한 회전 운동으로 변환해 압축 작업을 수행한다.  어떻게 수직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바꾸는가? 엔진의 피스톤 운동: 내연기관에서 연료가 폭발할 때, 피스톤은 실린더 내부에서 상하로 왕복 운동을 한다. 이 운동은 직선적이고 수직적인 움직임이다.크랭크축(Crankshaft): 피스톤의 수직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바꾸는 장치가 바로 크랭크축이다. 피스톤은 연결봉(콘로드, connecting rod)으로 크랭크축에 연결되어 있는데, 피스톤이 아래로 내려갈 때 크랭크축이 회전 운동을 시작한다. 이 과정..

article thumbnail
인버터
인버터 2024. 8. 19. 11:32

차량용 인버터 차량용 인버터는 차에 있는 12v 전력을 220v로 전환해주는 기계입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모든 가전제품은 220v로 되어 있으니 차량에 있는 12v로는 구동이 안되기 때문에 변환기가 필요한데 이러한 역할을 합니다.차량용 인버터가 무엇인지 이해하기 전에 AC와 DC 전원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매우 기본적인 용어로, AC 전원은 집의 콘센트에서 나오는 것이고 DC 전원은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입니다.자동차에 인버터를 사용할 때마다 자동차 배터리 용량, 발전기의 정격 출력 및 인버터 출력과 같은 요소가 고려되어야합니다.       작동 방식 인버터는 교류 (AC) 전원을 모방하기 위해 단방향 DC 전원을 사용하여 작동합니다. 전자 인버터는 근본적으로 직류 전원의 극성을 신속하게 전..

article thumbnail
HILS 검증
자동차 2024. 8. 19. 08:24

차량용 ECU(Electronic Control Unit, 전자제어단위) 및 부품은 점점 다양하고, 복잡해지고 있습니다.​메르세데스-벤츠 S클래스나 BMW 7시리즈, 현대 제네시스와 같은 고급 차종에는 ECU가 70~100여 개 탑재되어 있어서, 더 이상 수작업으로 시험하거나 실제 자동차(실차) 환경에서만 시험하기에는 시간, 비용 등 한계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실차 시험 전에 모의실험(simulation) 환경에서 테스트를 선행하여 이런 한계점을 줄여나가고 있는 추세입니다.​현재, 혼다, 아우디, 미쓰비시 등의 외국 자동차 업체들은 차체(car body), 동력전달장치(power train), 샤시(shassis)의 ECU 별로 모의실험 환경을 구성하여 총 30~100여 대 정도의 장비로 환..

article thumbnail
자동차 공조시스템
자동차 2024. 8. 9. 09:09

Compressor(압축기)콤프레서는 증발기에서 기체상태로 변한 차가운 냉매(프레온가스)를 흡입, 압축하여 고온고압 상태의 기체로 만들어 콘덴서(응축기)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냉매를 압축하는 이유는 높은 온도에서 기체를 액체로 액화시킬수 있기 때문인데, 자동차에 사용되는 냉매는 보통 대기압인 1기압에서는 -29.8도씨에서 액화한다.자동차에서는 이런 낮은 온도를 만들수 없기 때문에 엔진룸의 높은 온도에서도 냉매를 액체로 변화시키기 위해서 압축하는 것이다.       Condenser(응축기)응축기 자동차 엔진룸의 맨 앞에 위치하여 압축기에서 전달된 고온고압의 냉매를 차게해서 액체 상태의 냉매로 전환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Drier응축기에서 전달된 냉매(에어컨 가스)의 이물질과 수분을 걸러  E..

article thumbnail
자동차 통신 및 네트워크 (2)
자동차 2024. 7. 24. 11:06

TCP/IP 통신    TCP/IP의 개념TCP/IP 스택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정보를 공유하는 표준 프로토콜의 집합을 의미한다.IP는 인터넷 프로토콜로서, 인터넷 환경에서 IP 주소 체계에 의해 정보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규약TCP는 여러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전송할 때 송-수신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한 전송 제어 규약TCP/IP 스택은 물리 계층의 통신 방식과 상관없이 상위 애플리케이션끼리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 필요한 부가 정보를 담을 수 있는 표현법과 방식을 정의한 상의 프로토콜이다. TCP/IP 스택 구조TCP/IP 스택은 응용, 전송, 네트워크, 테이터 링크, 물리 계층 등으로 나뉘어 구성응용 계층에는 실제 전달하고자 하는 데이터만 필요전송 계층에서는 TCP 혹은 UDP..

728x90